PLAYS(10)
-
인디뮤지션과 시대정신 그리고 2024 탄핵집회의 저항음악 소개
12월 맞이 뭐하지 고민하던 차에 국가가 나서서 스케쥴을 만들어 주네요. 원래는 연말맞이 2014 해바라기운동 10주년 기념 학생운동과 대만의 인디밴드 방향성 얘기 좀 써볼까 했는데 아나 진짜 45년만에 한국에 계엄령이 터질 줄 누가 알았나. 여기나 거기나 학생운동이 동시대성 이야기가 되어버려서 지금 옛날 얘기 할 때가 아님. 올해 여름 락페 다녀와서 이거 재밌다 우리 겨울에도 또 하는 거지 했는데진짜 겨울에 전국민 응원봉 락페가 열려버림. 심지어 접근성 좋게 여의도랑 광화문이네 환장한다. 남태령은 좀 빡시긴 했는데.고도로 발달한 집회는 락페와 다를 바가 없다. 그래도 더 쾌적하죠 그런데 집회 나갈 때 응원봉 없고 슬로건만 있는 한줌장르라서 그냥 갔는데밤 되니까 옆자리 휀걸이 지니신 발광력이라는 개큰..
2024.12.23 -
락뮤지컬 선천적얼간이들 그리고 GTA햄릿
뭐 생각나는 거 없으면 티스토리를 계속 방치할 것 같아서 최근 본 것들이라도 적어보려고 하는 글. 이래놓고 뮤지컬 선천적 얼간이들을 안봤는데 제목으로 쓰고 있음. 늘 양심없이 굴러가는 사이버 메모장이죠 이게. 뮤지컬 『 선천적 얼간이들』 네이버 웹툰 『 선천적 얼간이들』이 2012-2013년 연재되었으니 거의 10년 전이네요. 가스파드의 전작 『 전자오락수호대 』가 2014~2021년에 연재되었으니 선얼간이 뮤지컬로 갑자기 예토전생하기에는 시간차이가 꽤 있습니다. 사실 뮤제작 소식 듣고 2015년 올라왔던 락뮤지컬 『 고래고래 』의 2024년 버전인가 생각했습니다. 국내락밴드 '몽니'의 노래들로 구성된 락밴드 주크박스 뮤지컬로 저게 흥행했냐..하면 15년 이후 다시는 고래고래를 본 사람은 없다고 한다 그..
2024.10.05 -
아우터 와일즈(outer wilds) 속 과학(2) : 엔딩까지의 양자역학과 천체물리학
(아우터 와일즈 스포일러, 결말까지 언급 있습니다) 첫번째 글에 이어서. 아우터 와일즈에 나오던 과학 이론 간략 소개. 아우터와일즈(outer wilds) 속 과학(1) : 인디게임 개발 제작 과정과 스토리 모티브 요약 (아우터와일즈 스포일러, 결말까지 언급 있습니다) 최근 SF인디게임 아우터와일즈 엔딩을 보았다. 스토리가 좋다고 해서 과거 스팀할인 때 샀는데 3d멀미 있는 멀미쟁이란 걸 또 까먹어서 봉인해 backup899.tistory.com 1. 아우터와일즈와 양자역학 - 입자냐 파동이냐 인디 SF게임 아우터와일즈에 나오는 대표적인 과학이론은 양자역학이 있다. 초반 튜토리얼 구간의 박물관에서 등장하는 '양자 파편 Quantum Shards'은 플레이어들에게 게임 내 양자역학 개념을 심플하게 소개하는..
2024.01.28 -
아우터와일즈(outer wilds) 속 과학(1) : 인디게임 개발 제작 과정과 스토리 모티브 요약
(아우터와일즈 스포일러, 결말까지 언급 있습니다) 최근 SF인디게임 아우터와일즈 엔딩을 보았다. 스토리가 좋다고 해서 과거 스팀할인 때 샀는데 3d멀미 있는 멀미쟁이란 걸 또 까먹어서 봉인해둠. 게다가 노트북으론 안 돌아가서... 스위치에 이식되기를 기다리다 코로나가 터지고. 제작자인 '모비우스 디지털'도 인디게임 특성 상 제작인원이 적어서 코로나로 이식 연기되었다고 뜨고.. 게임은 2019년에 나왔는데 스위치로는 2023년 12월 되어서야 겨우 발매 되었길래 플레이 다 하고 적어보는 글. 아우터와일즈 메이킹 다큐멘터리 스위치 이식 기다리는 동안 심심해서 봤던 아우터 와일즈 공식 제작 다큐멘터리. 최고의 게임 추천리스트에 늘 언급될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발매 4년이 넘었는데도 여전히 인터넷 ..
2024.01.23 -
연극 아카디아(Arcadia 아르카디아)의 줄거리, 용어 해설 소개 (3 - 1막 4장)
[1막 4장] (배경 : 현대의 시들리 파크) 한나와 발렌틴은 같은 공간에 있다. 한나는 토마시나가 적었던 카오스이론에 관한 기록을 발견한다. 이 이론은 발렌틴의 연구방식과 동일하며, 20세기가 되어서야 상용화된 이론이라는 게 드러난다. (마치 고대 동굴벽화에서 e=mc2공식을 발견한 것처럼 시대적으로 불가능한 상황) 바이런은 시들리 파크에 머무르고 있었다는 것이 사냥북을 통해 밝혀진다. 다른 사람들은 버나드의 논리에 헛점을 지적했음에도, 버나드는 오만하게 반응하며 바이런이 채터를 결투에서 죽인 것이라 확신한다. 발렌틴의 반복 알고리즘(iterated algorithm) 19세기 시들리파크 뇌조의 증감율로 인구수를 예측하고자 하는 발렌틴의 방식은 20세기(작중 언급되길 20년 이내)에서야 사용됨. 그 이..
2024.01.14 -
연극 아카디아(Arcadia 아르카디아)의 줄거리, 용어 해설 소개 (3 - 1막 3장)
[1막 3장] (배경 : 1809년의 시들리파크) 토마시나와 셉티무스는 라틴어 번역 수업 중이다. 둘의 대화를 통해 실제로 바이런 경이 시들리 파크의 손님으로 왔음을 알 수 있다. 1장에서 채터의 책에 혹평을 했던 사람이 셉티무스였음이 밝혀진다. 크룸부인이 들어와서 곧 영국을 떠날 계획인 바이런에게 빌려주겠다며 1장과 2장에 등장하던 셉티무스의 '에로스의 소파' 사본을 가져간다(2장에서 셉티무스의 책이 바이런의 서재에 있게 된 이유). 채터는 브라이스를 입회인으로 두고 셉티무스에게 다시 결투를 신청한다. 플라우투스 Plautus (c.254-184 B.C.) 셉티무스의 거북이 이름이자 로마 극작가의 이름. 중산층과 하층민의 삶을 다룬 희곡을 썼다. 발렌틴의 거북이 이름은 라이트닝이고. 이 무슨 아이러니...
2024.01.06